오늘 글은 구글 검색 엔진 최적화(SEO)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캐노니컬 태그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구글 검색 최적화 글을 써야하나 말아야 하나 정말 오랫동안 고민했었는데요. 결국 이렇게 하나 하나 풀어 놓게 됩니다. 참고로 제목이 너무 긴데 댕강 쳐낼 단어가 없..
며칠 되었는데요. 티스토리 블로거분이 2018년도 말에 작성한 검색 엔진 최적화 구글 서치 콘솔 모바일 편의성 문제 해결 글에 짧은 질문 댓글을 남겼습니다. 블로그에 글이 100개 넘는다. 모바일 편의성 오류 0이고, 유효는 2 밖에 되지 않는다. 이유가 무엇이냐는 댓글이었는데요. 정말 간단한 문제입니다. 이 문제는 캐노니컬 태그 문제입니다. 구글 서치 콘솔의 모바일 편의성에 유효가 2로 표시되는 이유는 모바일 친화적 페이지가 딱 2개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구형 웹스킨 + 모바일 스킨 조합이면 모바일 편의성에 유효 갯수가 거의 없을 수 밖에 없습니다. 모바일 친화적인 페이지가 없으니 유효 갯수도 늘지 않는 것입니다. 해결 방법 정말 간단합니다. 티스토리 스킨을 모바일에 대응되는 반응형 스킨으로 변경하면 자연스럽게 캐노니컬 태그 문제도 해결되고 모바일 친화적 페이지도 늘어나게 됩니다.
티스토리 블로그에 반응형 스킨을 사용한다고 무조건 모바일 친화적 페이지가 늘어나는 것은 아닙니다. 사용하는 티스토리 반응형 스킨이 모바일에 대응(검색 엔진 최적화까지는 아니더라도 저해 요소는 없는 정도)이 되어 있어야 하고, 발행된 게시물 또한 모바일 친화성을 저해하는 요소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본문에 삽입한 사진,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스마트폰 화면 크기를 넘지 않아야 합니다. 텍스트 및 링크 텍스트도 스마트폰에서 불편 없이 볼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이어야 합니다.
구글 검색 엔진 최적화, 캐노니컬 태그
구글 검색 최적화에서 절대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있습니다. 물론 네이버 검색 최적화에도 절대 빼놓을 수 없는 것이지만, 네이버 검색에는 통하지 않습니다. 구글 검색 최적화 작업에 필수급인 캐노니컬(Canonical) 태그라는 것이 있습니다. 301 리다이렉션과 비슷하지만 다른 조건에서 사용됩니다. 하나의 게시물 페이지는 프로토콜(http와 https), www. 유무 등에 따라 여러 개의 URL 주소를 갖게 될 수 있습니다. 여러 개의 URL 주소를 갖게된 게시물 페이지들을 캐노니컬 태그를 이용하여 하나의 게시물 URL 주소를 표준 URL(표준 페이지 혹은 원본 페이지)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형 사이트 및 서비스형 블로그의 경우에는 캐노니컬 태그 설정을 지원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직접 캐노니컬 태그를 설정하고 싶다면 설치형 사이트/블로그를 운영해야 합니다.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예시 domainname.tistory.com)을 사용하며 숫자 형식의 주소를 사용한다면 아래와 같이 하나의 게시물에 웹 페이지와 모바일 페이지가 생성됩니다.
https://mongrinet.tistory.com/3259
https://mongrinet.tistory.com/m/3259
이 웹과 모바일 페이지에는 최소 2개이상의 동적 URL이 추가 됩니다. 아래와 같은식으로 말이죠.
https://mongrinet.tistory.com/3259?category=241334
https://mongrinet.tistory.com/m/3259?category=241334
https://mongrinet.tistory.com/3259?category=241334?category=241334
https://mongrinet.tistory.com/m/3259?category=241334?category=241334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 문자 형식의 주소를 사용한다면 아래와 같이 최소 4개의 주소가 추가 됩니다.
https://mongrinet.tistory.com/entry/Google-SEO-ink-rel-canonical
https://mongrinet.tistory.com/m/entry/Google-SEO-ink-rel-canonical
https://mongrinet.tistory.com/entry/Google-SEO-ink-rel-canonical?category=241334
https://mongrinet.tistory.com/m/entry/Google-SEO-ink-rel-canonical?category=241334?category=241334
티스토리 블로그에 개인 도메인을 사용하고 있다면 게시물 주소는 2배로 늘어 나게 됩니다. https://mongrinet.tistory.com/으로 시작하는 주소 한 세트에 추가로 https://mongri.net/으로 시작하는 주소 한 세트가 생성되니 말입니다. 여기가 끝이 아닙니다. 기본 도메인은 http://mongrinet.tistory.com/으로 시작하는 한 세트의 주소도 추가로 생성됩니다. 개인 도메인을 사용하고 있다면 http://mongri.net/으로 시작하는 주소와 http://www.mongri.net/으로 시작하는 주소 두 세트가 추가로 생성됩니다.
https://mongri.net/3259
https://mongri.net/m/3259
https://mongri.net/entry/Google-SEO-ink-rel-canonical
https://mongri.net/m/entry/Google-SEO-ink-rel-canonical
https://mongri.net/3259?category=241334
https://mongri.net/m/3259?category=241334
https://mongri.net/entry/Google-SEO-ink-rel-canonical?category=241334
https://mongri.net/entry/m/Google-SEO-ink-rel-canonical?category=241334
https://mongri.net/3259?category=241334?category=241334
https://mongri.net/m/3259?category=241334?category=241334
https://mongri.net/entry/Google-SEO-ink-rel-canonical?category=241334
https://mongri.net/m/entry/Google-SEO-ink-rel-canonical?category=241334?category=241334
http://도메인/...
http://www.도메인/...
위와 같이 말이죠. 티스토리 블로그에서 개인 도메인에 문자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어휴야 하나의 게시물이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주소를 갖게 됩니다. 1개의 게시물이 최소 44개의 URL 주소를 갖게 됩니다. 최소입니다. 최소!
사람 눈으로 볼 땐 다 같은 내용이니 하나의 게시물이겠구나 짐작하고 판단할 수 있겠죠. 하지만 기계는 그렇지 않습니다. 검색봇은 주소 다른 게시물들은 모두 다른 게시물로 판독합니다. 글을 발행할 때마다 원본 글 한 개 당 복사문서 43개가 생성된다면 자폭이죠. 그래서 이런 자폭을 막기 위해 티스토리에서 티스토리 블로그에 캐노니컬 태그를 적용해 주었는데요. 이 캐노니컬 태그가 검색봇에 표준 URL 주소를 알려줍니다.
티스토리 게시물의 소스 보기를 보면 헤더에 <link rel="canonical" href="https://mongri.net/entry/Google-SEO-ink-rel-canonical" /> 요런 식으로 링크 캐노니컬로 표준 URL를 규정하여 검색봇에 알려줍니다.
워드프레스, XpressEngine 등의 CMS 툴을 이용하여 사이트 혹은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다면 아래의 형식으로 중복 콘텐츠들의 표준 URL을 선언할 수 있습니다.
<link rel="canonical" href="표준URL" />
43개 페이지에 모두 같은 링크 캐노니컬로 표준 URL를 규정하였다면 43개 페이지는 모두 다 중복 페이지다 표준 페이지 URL은 이것이다라고 콕 찝어 주는 것이죠. 이에 검색 엔진에는 캐노니컬 태그로 지정된 페이지가 색인되어야 합니다. 검색 엔진이라면 말입니다.
티스토리 블로그 모바일 친화적 페이지 문제
글 초반에 티스토리 스킨을 반응형 스킨으로 변경하면 캐노니컬 태그 문제도 해결되고 모바일 친화적 페이지가 늘어날 것이라고 했었죠. 티스토리 구형 스킨 + 티스토리 모바일 스킨 조합으로 티스토리 블로그를 운영하면 구글 서치 콘솔에서 모바일 편의성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 문제는 캐노니컬 태그 때문에 발생합니다.
위에서 티스토리 블로그에서 개인 도메인에 문자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1개의 게시물이 최소 44개의 URL 주소를 갖게된다고 알려드렸죠. 그리고 이 수 많은 중복 문서 문제를 캐노니컬 태그로 해결할 수 있다고 알려드렸고요. 캐노니컬 태그를 사용자(블로거)가 직접 선택할 수 없기 때문에 구형 웹스킨을 사용할 경우 캐노니컬 태그로 인하여 구글 서치 콘솔에서 모바일 편의성 문제가 발생합니다.
모바일 스킨의 게시물에는 캐노니컬 태그로 표준 URL을 구형 웹스킨의 https://mongrinet.tistory.com/3259 혹은 https://mongrinet.tistory.com/entry/Google-SEO-ink-rel-canonical으로 선언 됩니다. 숫자 주소 형식을 사용한다면 도메인/숫자 주소 URL를 가르킬 것이고요. 문자 주소 형식을 사용한다면 도메인/문자 주소 URL을 가르킵니다. 모바일 스킨의 https://mongrinet.tistory.com/m/3259 게시물이 캐노니컬 태그로 표준 URL을 https://mongrinet.tistory.com/3259로 선언하게 되는 것이죠. 모바일 스킨의 페이지에서 웹페이지(티스토리 구형 스킨)를 표준 URL이라고 콕집어 말하고 있으니 검색 엔진은 https://mongrinet.tistory.com/3259을 색인할 수 밖에 없습니다. 검색 엔진은 색인 유무만 판단하죠.
위에서 말했지만 모바일 친화적 페이지로 판정 받으려면 기본적으로 모바일 친화성을 저해하는 요소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야 합니다. 하지만 캐노니컬 태그로 표준 URL로 선언된 페이지는 티스토리 구형 스킨을 사용하는 웹페이지이기에 모바일 친화적 페이지로 판정 받을 수 없습니다. 쉽게 그냥 웹페이지죠. 모바일을 지원하지 않는 웹사이트가 되는 것이죠. 참고로 티스토리 블로그의 일부 페이지에는 캐노니컬 태그가 명확하게 선언되지 않았습니다. 캐노니컬 태그가 명확하게 선언되지 않은 카테고리(도메인/m/category) 등의 페이지는 모바일 친화적 페이지로 판정될 수 있습니다. 구형 스킨을 사용하여 발생한 구글 서치 콘솔의 모바일 친화적 페이지 문제는 반응형 스킨으로 변경하여 해결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100% 해결 된다고 보장할 수 없기에 '도모'인 것입니다. 스킨 및 게시물에 모바일 친화성을 저해하는 요소가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반응형 스킨으로 변경해주면 차츰 모바일 친화적 페이지 숫자가 늘어날 것입니다. 다만 색인인 이루어져야만 모바일 친화성 여부도 가려지기에 최우선적으로 색인 생성 저해 요소가 절대 없어야 합니다.
너무 당연하지만 노파심에 덧붙이자면, 콘텐츠(글)가 색인에 반영 안되어 있으면 당연히 모바일 사용 편의성 여부도 확인할 수 없습니다. 색인 및 모바일 친화적인 페이지 여부는 구글 서치 콘솔에서 개별 콘텐츠 주소로 URL 검사하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색인에 반영된 컨텐츠 중 모바일 친화적인 페이지만 유효 페이지로 잡힙니다. 오류로 표시되지 않더라도 스킨 혹은 콘텐츠에 모바일 친화성을 저해하는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면 모바일 친화적인 페이지로 판정되지 않습니다.
네이버 검색에게 캐노니컬 태그 표준 URL이란
바다야크 블로그님이 얼마 전에 문자 주소로 사용하던 게시물 주소 형식을 숫자 주소로 변경하였습니다. 화딱지나서 홧김에 바꾼 것이죠. 개인 도메인 연결한 것도 크게 후회하고 계십니다. 후회만 하면 다행이죠. 열불 날 겁니다. 그럴수밖에요. 몇 년째 저렇게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의 게시물 URL을 색인하고 있으니 환장하죠. 개인 도메인은 거꾸로 웹사이트에 색인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도메인 이력 조회하니 2011년 11월에 등록한 도메인입니다. 무려 7년동안 저 문제가 해결 안되었습니다.
네 그렇습니다. 캐노니컬 태그, 대표 URL, 표준 URL 뭐라 부르던 네이버 검색에게는 그저 씹어 먹는 과자 같은 것일뿐입니다. 대표이자 표준인 개인 도메인은 물론이고, 대표 URL은 과감하게 씹어 먹습니다.
네이버가 공개한 웹 표준 최적화 기본 가이드를 살펴보면 캐노니컬 태그에 대해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그것도 최우선적으로 설명 되어 있습니다. 캐노니컬 태그에 대해 설명만 되어 있을뿐 자신들이 내세우고 있는 가이드 조차도 지키지 않고 있습니다. 지켰다면 저 위의 검색 결과 페이지 같은 멍텅구리한 검색 결과 페이지는 볼 수 없었겠죠.
물론 다음 검색은 더욱 더 심합니다. 다음 검색은 표준 URL 자체를 거부합니다. 10년 동안 다음 검색 결과에서 티스토리 문자 주소로 색인된 것을 보질 못했네요. 다음은 아니 카카오는 자기들 멋대로 게시물 URL도 만들어서 사용하죠. 끝~
[저작권 규약, 운영 원칙 및 이용자 준수 사항]
과객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좋은 정보 잘 보고 갑니다
⎿ 몽리넷 답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엄허나 댓글이 있는 줄 몰랐어요 으흐흐흐흐흐흐흐
김퍼기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몽리님. 우선 이전 댓글에 빠른 답변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이렇게까지 포스팅을 해주셔서 정말 너무 감사해요. 근데 제가 스킨편집 같은걸 잘 못해서 몇가지 다시 여쭤봅니다.
제가 현재 반응형 pure black 스킨 사용하고 있고
알려주신대로 스킨편집에서 head 아래에
canonical을 적용했는데 구글 서치 콘솔 모바일편의성에서 여전히 유효는 2개 입니다. 시간이 지나면 변할까요?
몽리님.
그리고 한가지 더 질문이 있습니다.
구글서치 콘솔에서 색인-적용범위에 들어가면 오류0, 유효(경고있음)0, 유효 336, 제외됨 582 이렇게 제외가 엄청많이 나옵니다.
제외사유는 적절한 표준태그가 포함된 대체페이지, 중복 페이지, 제출된 url이 표준으로 선택되지 않음
이 두 가지 사유가 대부분인데 중복페이지는 알려주신 canonical과 관련된게 맞나요?
적절한 표준태그가 포함된 대체페이지 문제는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 의견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귀찮게 해드려서 정말 죄송해요 ㅠㅠ
⎿ 몽리넷 답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우선 티스토리 블로그는 캐노니컬 태그를 기본으로 지원합니다. 모든 티스토리 블로그의 모든 게시물에 이미 캐노니컬 태그가 적용되어 있어요. 사용자(블로거)가 직접 스킨에서 설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스킨에 추가한 캐노니컬 태그 빨리 제거하세요.
반응형 스킨으로 변경했으니 이제 슬슬 변경될 것이에요. 구글이 좀 느려요. 구글 봇이 크롤링한 후 변경 사항이 발견되면 재색인하는데요. 이게 시간이 좀 걸립니다. 글 100개 정도 재 크롤링하고 색인 반영까지 길면 한 달도 더 걸릴꺼에요. 반응형 스킨으로 변경하였다면 차츰 모바일 친화적 페이지가 늘어 날겁니다.
마음이 조급하다면 직접 구글 서치 콘솔에서 상단 검색란에 게시물 주소(관리 페이지에서 설정된 포스트 주소 형식의 표준 URL로 할 것)를 입력한 후 엔터치면 해당 URL을 검사합니다. 색인 되어 있다면 URL이 구글에 어쩌고 저쩌고 등록됨 이렇게 나올 것이고요. 색인이 안되어 있다면 URL이 구글에 등록되지 않음 이런식으로 나올거에요. 색인이 안된 경우 우측 상단에 실제 URL 테스트 혹은 체크 버튼이 나타날 것인데요. 테스트(혹은 체크) 버튼 클릭하여 해당 URL 체크한 후 색인 요청하시면 됩니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가 직접 게시물을 크롤링 및 색인 요청할 수 있는데요. 하루에 10~20개 정도 밖에 요청을 못해요. 그 이상 요청하면 서치 콘솔에서 로봇이냐고 묻기도 하고, 색인 요청을 거부하기도 합니다. 색인 요청은 무조건 받아들여지진 않습니다. 구글 검색 엔진이 판단 후 색인 여부 결정합니다.
제외됨이 무조건 나쁜 것은 아닙니다. 글에서 설명했지만 티스토리의 경우 하나의 글이 여러 개의 주소를 갖게 됩니다. 표준 URL을 제외한 다른 주소들은 이런 저런 이유로 거의 모두 제외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적용 범위에서는 크롤링 오류하고 404 정도만 신경 쓰시면 됩니다.
그런데 블로그에 방문해 확인해 보니 현제 사용 중인 스킨이 반응형 스킨이 아닌 것 같은데요. 마음에 드는 적당한 반응형 스킨으로 변경부터 하세요. 유효가 336개인 것을 보면 아마 다른 블로그가 있으신 것 같습니다.
김퍼기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몽리님.
자세한 답변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마지막으로 한개만 더 여쭤보겠습니다.
유효가 336개 인 것을 보면 다른 블로그가 있는 것 같다고 말씀하셨는데
제가 사실 네이버 블로그를 오랜기간 운영하다가 티스토리로 넘어온건데 네이버블로그에서 썼던 사진들을 이용해서 티스토리에 글을 쓰고 네이버블로그에 있는 글은 다 삭제한 상태에요.
현재 네이버에는 글이 없는데 블로그를 완전히 초기화하면 유효 336개 문제가 해결될까요?
지금까지 제가 썼던 pure black 스킨이 반응형인줄 알았는데 지금 다시 보니 반응형이 아니네요.
제가 html 이런걸 하나도 몰라서 다른분들 블로그 보고 메타태그나 글씨체 등 이런걸 뜨문뜨문 설정해왔는데 다시 스킨을 변경하려고 하니 많이 난감하네요 ㅠㅠㅠ 일단 수정했고 하나씩 또 검색하며 적용해나가는 중입니다.
좋은 말씀 너무 감사합니다. 정말 큰 도움이 됐습니다. 감사합니다.
⎿ 몽리넷 답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우선 먼저 자세하게 어떤 방식으로 옮겼는지 알 수 없기에 문제 해결 여부를 판단할 수 없네요. 참고로 게시물은 새로 작성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기존에 운영하던 블로그에 발행된 게시물(글, 사진 등)을 옮길 때는 미리 게시물을 비공개로 전환하여 검색에서 색인 제외 시킨 후 옮기는 것이 좋습니다. 구글 검색도 네이버 검색도 검색 제외 요청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 블로그는 삭제하지 마세요. 티스토리에 발행 못하는 글을 발행할 수도 있고, 나중에 티스토리 유입 용도로 써먹을 수도 있으니까요.
발행 및 공개된 게시물 숫자가 몇 개인지 모르겠지만 유효 336개에 제외됨 582개이면 준수한 상태로 판단됩니다. 티스토리 블로그는 일반적으로 유효보다 제외가 2~3배 많습니다. 개인 도메인에 문자 주소 사용한다면 제외가 4~10배까지도 나옵니다.
html 조금 할 줄 아시면 티스토리 반응형 스킨 베스트 5 https://mongri.net/entry/tistory-response-skin-best-5 중에 하나 사용하시면 될 것인데요. html을 잘 모르시는 것 같으니 티스토리에서 제공하는 #2 스킨 같은 사용자가 많은 스킨을 고려해 보세요. 사용자가 많은 스킨은 팁도 많이 공개되어 있기에 관리 및 수정이 용이합니다. 투자라고 생각하고 업데이트 및 관리 잘 해주는 유료 스킨 사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2~5만원 내고 스킨 문제 해결한다면 절대 나쁜 가격이 아닙니다. 스킨 문제로 낭비되는 시간에 글 작성하면 본전 충분히 뽑을 수 있습니다.
마음이 조급하신 것 같은데요. 방문자 등의 문제가 아니라 애드센스 때문에 조급하신 것이라면 절대 서두르시면 안됩니다. 애드센스는 길게 보셔야 합니다. 기초공사한다 생각하고 1년 정도는 넓고 탄탄하게 지반을 다지세요.
바른 정보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관리자의 승인을 기다리고 있는 댓글입니다
꿀하마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관리자의 승인을 기다리고 있는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