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웹마스터도구, 제목이 없는 웹 페이지 문제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제목이 없는 웹 페이지 문제

국내 웹서비스 중에 계륵 같은 웹서비스가 있습니다. 네이버 웹마스터도구요. 네이버 웹마스터도구는 사이트나 블로그 등을 운영하는 사람들이 주로 이용하는 웹서비스인데요. 쓰기도 뭐하고 안쓰기도 뭐한 딱 그런 서비스입니다. 저는 네이버 검색에서 누락된 게시물을 수집 요청할 때만 네이버 웹마스터도구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방법이 이것 밖에 없기 때문에 사용하는 것이지 예전처럼 다른 방법이 있었다면 사용하지 않았을 겁니다. 그 외 기능들은 딱히 쓸 가치고 없고, 이유도 없고, 의미도 없죠.


콘텐츠 관리

네이버 웹마스터도구를 보니 제목이 없는 웹 페이지와 제목이 동일한 웹 페이지 2개의 항목이 ‘진단할 수 없습니다’로 표시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몽리 블로그의 모든 게시물에는 제목이 있습니다. 그리고 동일한 제목의 게시물이 있을 가능성이 있긴 하지만 일부러 같은 제목을 사용하진 않습니다. 네이버 웹마스터도구가 진단을 못하는 것인데, 이게 참 기분이 나쁘더라고요. 그래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단의 조치를 취했습니다.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사이트 최적화

여기서 잠깐~ 지금의 몽리 블로그는 콘텐츠 관리 항목만 나쁘지 않아요로 표시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얼마 전까진 검색 로봇 수집도 나쁘지 않아요로 표시되고 있었습니다. 눈에 너무 거슬려 최고에요로 표시되게 사이트맵도 제출했고, 블로그 스킨에 소스를 추가하여 채널 반영을 완료 하였습니다. 그래서 지금은 검색 로봇 수집이 최고에요로 표시되고 있습니다.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사이트 최적화 

사이트맵 만들기 & 사이트맵 제출
채널 반영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사이트 구조

사이트 구조의 링크 관리에 노란색 따옴표가 표시되는 것도 눈에 거슬리는데요. 이건 단시간에 해결할 수 없는 문제이기 때문에 시간을 두고 조금씩 수정할 생각입니다. 본문에 삽입된 링크의 앵커 텍스트와 이미지 alt 속성 문제인데, 이거 해결하려면 글 하나 하나 열어 수작업 해야 하기에 상당히 오래 걸릴 것 같습니다.

 

글 작성할 때 앵커 텍스트와 이미지 alt 속성에 동일 키워드를 남발하면 안됩니다. 검색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절대 주의하셔야 합니다. 제가 말입니다. 오래전 쓴 글들에서 이미지 alt 속성 제거하느라 아주 그냥 죽을 응가를 싸고 있네요.


티스토리 스킨 html 편집

제목이 없는 웹 페이지와 제목이 동일한 웹 페이지 항목이 ‘진단할 수 없습니다’로 표시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제를 해결하려면 원인을 알아야 하잖아요. 그래서 우선 소스에 문제가 있는지 살펴 보았습니다. 스킨 소스를 살펴보니 메타 태그 중 <meta name=”description”이 중복 되어 있더군요. 그래서 하나로 정리해 주었다가, 완전히 삭제 시켜 버렸습니다.



중복되거나 불필요해진 부분들은 삭제해주고, 필요한 것들은 추가하여 마무리 해주었네요.


티스토리 스킨 소스 보기

스킨 소스에서 <meta name=”description” 항목을 완전히 삭제 시킨 이유는 불필요해 보였기 때문입니다. 소스 살펴보니 티스토리 블로그는 이제 Open Graph 메타 정보를 지원하더라고요. 그래서 타이틀 하단 부분에 넣어 두었던 Open Graph 메타 싹 다 삭제 시켰습니다.


메타 태그 description

블로그 스킨에 추가되어 있는 메타 태그는 딱 위와 같네요. 이제 네이버 웹마스터도구에서 ‘진단할 수 없습니다’로 표시되는 문제가 해결 될지 기다려 봐야 하는데, 해결 안되면 <meta name=”description” 다시 되돌려야죠.


수집 현황

네이버 웹마스터도구에 대해서 조금 더 얘기하자면, 네이버 웹마스터도구에서 수집 현황은 크게 신경 쓸 필요 없습니다.


색인 현황

몽리 블로그의 최근 색인 현황입니다. 중요한 것은 바로 이 색인 현황입니다. 네이버 검색이 해당 사이트에 컨텐츠가 얼마나 있는지 알고 있단 것을 의미하는 것이니까요. 검색 노출 가능 문서 수 당연히 많을수록 좋겠지요.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색인 현황

2016년 2월 몽리 블로그의 색인 현황은 위와 같았습니다. 검색 노출 가능 문서 수가 2월 말에 약 240개 정도이네요. 그 이전엔 네이버 검색은 몽리 블로그의 존재를 아예 모르는 상태이었네요.


네이버 출처 검색 결과

네이버 검색에 색인된 것이 없으면 위와 같이 출처를 선택하여 검색해도 아무것도 나타나지 않습니다. 2016년 2월에 mongri.net을 출처로 검색하였을 때 아무것도 검색 되질 않았었네요. 몽리 블로그의 글이 네이버 검색에 색인된 것이 없으니 당연히 네이버 유입도 없었습니다.

 

검색 누락 상태와 검색 상단에 노출되지 않는 것은 전혀 다른 차원의 문제입니다. 검색 누락 상태는 네이버 웹마스터도구를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습니다. 100% 해결되는 것은 아니지만 해결은 가능합니다. 하지만 일명 저품질 블로그 문제는 웹마스터도구로 해결이 불가능 합니다. 저품질 사이트는 수동으로 등록 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거 쉽게 안 풀립니다.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RSS 제출 날짜

몽리 블로그는 2016년 2월 28일에 네이버 웹마스터도구에 등록하였습니다. 블로그의 글들을 수집 요청하여 색인 시켜주려고 말이죠. 몽리 블로그의 도메인 http://mongri.net은 2014년에 구입하고 변경하였는데, 네이버 검색은 1년 동안 몽리 블로그가 있는지도 모르더군요. 네이버는 검색 사이트가 아니라 커뮤니티 사이트의 검색이니 뭐 어쩔 수 없죠.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웹페이지 수집 요청

네이버 웹마스터도구에 몽리 블로그를 등록한 후 열심히 수집 요청을 해주었습니다. 하루 최대 50개까지만 수집 요청을 할 수 있는데요. 당시에도 대략 2,000개 이상의 글이 있었기에 40일 이상 수집 요청을 해줘야.. 그 때 생각하면 어후~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색인 캡쳐

색인 현황도 기록으로 남기고 그리고 색인에 관한 글도 쓰기 위해 5개월 동안 수집 요청한 것과 색인 현황을 캡쳐 했습니다. 폴더로 가지런히 정리해서 모아두었는데요. 지금까지 컴퓨터 폴더에서 그냥 썩고 있었습니다.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색인 현황

2016년 8월 1일이 마지막 수집 요청이었는데, 당시 검색 노출 가능 문서 수는 2,577개 이었습니다. 위쪽의 캡쳐 이미지를 보면 지금의 검색 노출 가능 문서 수가 더 적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사이 발행된 글들이 있으니 늘어 나야 하는 것이 당연한데 오히려 줄어들었습니다. 그래요. 줄어 들 수 있습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예전에 5개월 동안 캡쳐 할 때도 느낀 것이지만 검색 노출 가능 문서 수는 항상 상향 곡선으로 표시 되더군요. 분명 어느 시기에 숫자가 줄었는데도 불구하고 그래프는 항상 상향으로 표시되더라고요. 요상하게도요. 있는 그대로 보여주면 되는 것을 왜 그러는지. 이러니 뭘 하더라도 신뢰가 안가더라고요. 제 생각엔 계륵인 것 보다 이게 더 큰 문제 같습니다. 끝~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