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커스 설치부터 활용까지
인터넷에서 보면 소셜(SNS) 계정으로 댓글을 작성할 수 있는 사이트들이 있습니다. 이는 소셜(SNS) 댓글 서비스를 이용하여 구현한 것인데요. 해외 소셜(SNS) 댓글 서비스는 디스커스(Disqus), 라이브파이어(LiveFyre) 등이 있고, 국내 소셜(SNS) 댓글 서비스는 라이브리, 코스모스팜 소셜댓글 등이 있습니다. 전세계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는 디스커스(Disqus)를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티스토리 블로그에 둥지를 두고 있으니 티스토리 블로거를 위한 설치부터 활용까지 상세하게~
여기서 잠깐! 소셜(SNS) 댓글 서비스로 작성된 댓글은 내 사이트/블로그 게시물에 달리는 것이 아니기에 사이트/블로그 데이터로 저장되지 않습니다. 소셜(SNS) 댓글 서비스에 저장 됩니다. 이에 사이트/블로그에서 댓글 서비스를 제거하면 SNS 댓글 서비스로 작성된 댓글 또한 모두 사라지게 됩니다. 삭제 되는 것은 아니고 보이지 않게 됩니다.
SNS 댓글 서비스로 작성된 댓글들은 내 블로그 데이터로 저장되는 것이 아니었기에 이용하지 않았었는데요. 블로그 도메인 및 닉네임을 지금의 몽리 블로그로 변경한 후 방문자가 폭락하여.. 너무 당연하지만 도메인이 바뀌었으니 기존의 게시물들은 링크가 끊어지죠. 여튼 몽리 블로그의 방문자 늘리기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글을 배포 유통하기 위해 블로그에 페이스북 댓글 플러그인을 적용했었는데요. 페이스북 계정이 실명 문제로 사용할 수 없게 되어 디스커스 댓글로 교체하게 되었습니다.
디스커스(Disqus) 사이트 https://disqus.com/에서 GET STARTED 버튼을 클릭합니다.
디스커스(Disqus)는 소셜(SNS) 계정으로 가입할 수 있습니다. 계정 선택 후 가입 진행하시면 됩니다. 이름 및 이메일로도 가입이 가능하지만 소셜(SNS) 댓글 서비스는 소셜(SNS) 계정으로 가입해야 제 맛이죠~
저는 구글 계정으로 가입을 진행했습니다. 구글 계정으로 가입을 진행하면 위와 같은 구글 계정 선택 화면이 나옵니다. 구글 계정 선택하면 가입이 완료 됩니다.
회원 가입이 완료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아래쪽의 I want to install Diuqus on my site를 클릭하면
새 사이트 만들기 화면이 나옵니다. Website Name에는 블로그 닉네임 등을 입력해줍니다.
참고로 Website Name은 디스커스(Disqus) 계정의 관리 페이지 주소로 사용됩니다. 위와 같이 monri로 입력하면 관리 페이지 주소는 https://mongri.disqus.com/admin/ 이렇게 됩니다. 카테고리는 자신의 블로그에 맞는 것을 선택해주고, 언어는 한국어 선택한 후 Create Site 버튼을 클릭해줍니다.
우리들은 무료를 선호하잖아요. 무료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Basic을 선택해 줍니다.
플랫폼 선택 화면에서는 화면을 하단으로 끌어 내려주면
하단 마지막 부분에 I don't see my platform listed, install manually with Universal code가 있습니다. 티스토리는 바로 이 유니버설 코드 수동 설치를 선택해 주어야 합니다. I don't see my ... Universal code를 클릭하면
소스 코드 페이지가 열립니다. 1번 소스와 2번 소스를 블로그 스킨에 넣어 주면 됩니다.
1번 소스는 디스커스(Disqus) 소셜(SNS) 댓글이 위치할 부분에 넣어 주면 되고요.
2번 소스는 스킨 하단 바디 위에 넣어 주면 되네요. 2번 소스는 파일 명이 조회수와 관련된 자바스크립트 파일이 아닐까 싶은데 자세히 살펴 보지 않아 모르겠네요. 시간 날 때 한 번 자세히 살펴봐야겠네요.
소스를 스킨에 추가하여 적용하고 디스커스(Disqus) 사이트로 돌아오면 위와 같이 구성 화면이 열려 있을 겁니다. 블로그에 추가한 디스커스(Disqus) 댓글이 잘 작동되는지 살펴보는 것이 더 중요하잖아요. 그러니 일단 하단 우측의 Complete Setup 버튼을 클릭하여 설정을 완료 시켜 줍니다. 설정은 나중에 언제든 변경할 수 있네요.
소스 수정 없이 그대로 넣어주면 디스커스(Disqus) 소셜(SNS) 댓글은 위와 같은 형태로 나옵니다. 관리자만 저렇게 보이고 방문자는 다르게 보입니다.
방문자에겐 이렇게 보여집니다. 좀 꾸며줘야 할 것 같죠. 꾸미기는 '소셜(SNS) 댓글 서비스, 디스커스(Disqus) 설정 방법' 글에서~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