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언젠가 작성하여 발행한 ‘윈도우10 최근에 사용한 파일 목록 삭제‘ 글을 마무리하다 문뜩 떠오른 것이 있습니다. 파일 탐색기에 표시되는 자주 사용하는 폴더나 최근에 사용한 파일 목록을 정리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하지만 그보다 윈도우10 작업표시줄의 최근항목을 삭제하는 것이 우선이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접근성도 그렇고 보이는 내용이냐 양도 월등하게 많으니 말입니다.
작업표시줄 아이콘은 윈도우10 뿐만 아니라 이전 버전의 윈도우에서도 지원되는 기능이었습니다. 바로가기 아이콘을 작업 표시줄에 등록해 놓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작업 표시줄에 바로가기 아이콘을 등록해 놓으면 뭐가 좋으냐고 물으신다면, 제 사용 경험에 의하면 프로그램을 빠르게 실행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시작 메뉴에 등록된 바로가기 아이콘과는 비교할 것도 없습니다. 작업표시줄의 아이콘은 바탕 화면에 등록해 놓은 바로가기 아이콘 보다도 더 빠르게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
윈도우에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사용하면 바탕화면 아이콘은 프로그램 창에 당연히 가려질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작업표시줄의 아이콘은 동영상 등을 전체 화면으로 볼 때 정도만 가려지고 그 외에는 거의 가려질 일이 없습니다. 작업표시줄에 등록해 놓은 아이콘은 접근이 용이하기에 프로그램을 빠르게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
목차
윈도우10 작업표시줄 최근항목 및 고정항목
작업표시줄에 등록한 아이콘은 고정 항목 기능과 최근 항목 기능 등을 이용할 수 있어 파일 등을 보다 빠르게 열어 볼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에 따라 자주 방문한 페이지 목록, 최근 열어 본 문서 목록, 최근 재생한 동영상 목록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록을 클릭하면 해당 사이트 페이지로 이동하고, 해당 파일을 열어 볼 수 있습니다.
윈도우10 작업 표시줄의 최근 항목과 고정 항목입니다. 작업 표시줄에 등록한 아이콘을 마우스 우클릭해주면 위에서 설명했던 목록들이 이렇게 펼쳐집니다. 고정 항목은 큰 문제가 없겠지만, 최근 항목은 큰 문제가 생길 수 있겠지요. 가족이 모두 함께 사용하는 PC라면 말입니다.
파일 탐색기에 표시되는 자주 사용하는 폴더와 최근에 사용 파일을 정리하거나 아예 보이지 않게 감추는 것보다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이유가 바로 이 최근 항목 때문입니다. 인터넷 브라우저,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 메모장, 문서 프로그램 등이 최근 사용한 파일 항목을 살펴볼 수 있고, 바로 파일을 실행시킬 수 있으니 말입니다. 동영상 플레이어의 최근 항목에 마블 영화가 있고, 이미지 뷰어에 DC 코믹스 만화책이 있는 것을 가족들이 알게 되면 정말 난감해질 수 있겠죠. 정말 다행인 것은 윈도우10 작업표시줄에서 최근 사용 항목이 보이지 않게 설정을 변경 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10 작업표시줄 최근 항목 삭제
시작 버튼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한 후 ‘설정’을 선택하거나 작업표시줄 검색에 ‘설정’을 입력하여 검색된 설정 앱을 실행시킵니다. Windows 설정 창이 열리면 개인 설정 항목으로 진입합니다.
개인 설정이 열리면 좌측 메뉴 중 시작을 찾아 진입합니다. 시작에서 우측 화면을 끌어올리면 끝자락에 ‘시작 메뉴의 점프 목록 또는 작업 표시줄에 최근에 사용한 항목 표시’ ‘시작 메뉴의 점프 목록, 작업 표시줄 또는 파일 탐색기 즐겨찾기에서 최근에 연 항목표시’가 있습니다. 기본 설정이 켬으로 되어 있을 것인데요. 토글스위치를 클릭하여 끔으로 변경합니다. 끔으로 변경하면 작업 표시줄 아이콘의 최근 사용 항목 기능 등은 비활성 됩니다. 끔으로 변경한 이후에는 최근 문서 및 열어본 파일 목록에도 아무것도 나타나지 않게 됩니다. 마치 아무것도 안 본 것처럼 깨끗하게 말이죠.
예시, 이런 식으로 프로그램 이름과 작업 표시줄에서 제거만 표시됩니다.
작업표시줄 설정 및 알림 영역 설정
참고로, 개인 설정 > 작업 표시줄로 진입하면 작업표시줄에 관한 다양한 설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작업 표시줄 우측 시계 있는 곳(알림 영역)에 너무 많은 아이콘이 뜨고 있거나 불필요한 아이콘이 표시될 경우엔 ‘작업 표시줄에 표시할 아이콘 선택’과 ‘시스템 아이콘 켜기 또는 끄기’로 집입하여 설정을 변경하면 됩니다. 일단 모든 아이콘 알림 영역 표시를 끔으로 설정합니다. 표시하고 싶은 아이콘만 켬으로 놓고 불필요한 앱 및 프로그램은 모두 끔으로 변경하면 알림 영역을 쾌적한 환경으로 바꾸어 줄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듀얼 모니터 이상을 사용한다면 여러 디스플레이 항목의 설정을 변경하여 사용하면 되니다. 잘 아시겠지만 윈도우10 듀얼 모니터 바탕화면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