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싫으면 안 보죠. 대면도 안하는 사람이니 뭐 카톡 차단 1순위이겠죠. 꼴 보기 싫은 사이트가 있다면? 네 그렇습니다. 보기 싫은 사이트가 있으면 안 보면 됩니다. 카톡 차단 하듯 인터넷 사이트도 차단 시켜 주면 됩니다.
인터넷 사이트 차단은 어떻게 하느냐? 방법은 많습니다. 일반 가정에서도 쉽게 할 수 있는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인터넷 공유기에서 사이트 접속을 차단을 하는 방법이 있고, 컴퓨터에서 사이트 접속을 차단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 둘의 차이는 쉽게 하나의 컴퓨터에서만 차단 하느냐와 인터넷 공유기에 물려 있는 모든 컴퓨터에 차단하느냐로 이해 하시면 됩니다. 공유기에서 사이트 차단 설정을 잘 해주면 특정 컴퓨터에서 특정 사이트 접속을 차단할 수 있긴 하지만, 이걸 설정하다 보면 머리가 어지러워 집니다. 그러니 오늘은 쉽게 컴퓨터에서 인터넷 사이트를 차단 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윈도우10에서 캡쳐하여 제목을 윈도우10으로 붙였으나 하위 윈도우 버전에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인터넷 사이트를 차단할 수 있습니다.
컴퓨터에서 특정 인터넷 사이트 접속을 차단하려면 hosts 파일을 수정한 후 저장해야 하는데요. 이 hosts 파일이 시스템 파일이기에 평소 방법대로 하면 수정 후 저장이 안됩니다.
목차
윈도우 컴퓨터에서 인터넷 사이트 차단하기
메모장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시킵니다. 작업 표시줄의 검색에 메모장으로 검색하거나 시작 메뉴에 등록된 메모장을 선택한 후 마우스 우클릭 >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A)을 클릭하면 됩니다.
사용자 계정 컨트롤 창이 뜨면 예 버튼을 꾸욱~ 눌러 주시고요.
관리자 권한의 메모장이 실행 되면, 파일 > 열기를 클릭합니다.
hosts 파일은 C:WindowsSystem32driversetc 폴더에 있는데요. 열기 창에서 모든 파일을 선택해줘야 hosts 파일이 보입니다.
hosts 파일을 선택한 후 열기 버튼을 클릭하면
위와 같이 hosts 파일이 열립니다. hosts 파일은 메모장으로 열리긴 하지만 관리자 권한으로 열어야만 파일 내용을 수정한 후 저장할 수 있습니다.
hosts 파일에 차단 사이트 등록 방법
hosts 파일을 이용한 인터넷 사이트 차단 방법은 쉽습니다. hosts 파일 내용에 있는 예제와 같은 형식으로 차단할 인터넷 사이트의 도메인을 입력해주면 됩니다. 한 줄에 하나씩 등록하면 되고요. Ctrl + C 키를 눌러 변경 내용을 저장하면 인터넷 사이트 차단 작업은 완료 됩니다.
hosts 파일 인터넷 사이트 차단 예시 :
127.0.0.1 warning.or.kr
127.0.0.1 blocked.or.kr
hosts 파일에 위 예시와 같이 워닝 사이트 형제 도메인을 둘 줄 추가하고 저장해주면 이렇게 나오던 불법 유해 정보 차단 사이트는
위와 같이 사이트에 연결할 수 없음으로 사이트 접속이 차단 됩니다. 너도 차단했으니 나도 차단할테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