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디스크 인식 안될 때 해결 방법

연말이라 연일 일이 치여 오늘은 좀 쉬려고 했는데 말입니다. 블로그에 예약 발행글 확인하려 들어 왔더니 날벼락같은 댓글이 달려 있더군요. 하드 디스크가 사라졌으니 도와 달라고 하십니다. 어쩝니까 제가 저지른 일인 것 같으니 책임지고  AS 해드려야죠.

 



 

제가 직접 저지른 일은 아니지만, WD 하드디스크 로우레벨 포맷 프로그램을 보고 공장 초기화를 하신 것 같습니다. 글 하단에 관련 글을 링크로 달아 두었었는데요. 도움 요청 댓글을 보니 링크 글이나 댓글로는 해결이 힘들 수 있겠다 싶어 급하게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당시 초기화 진행하고 문자 할당까지 캡처한 것을 여직까지 삭제하지 않고 그대로 두길 잘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귀차니즘이 있었기에 가능한 AS 응?

 

하드디스크 인식 불가 문제 해결 방법

하드디스크 공장 초기화 후 혹은 새로 구입한 하드디스크가 윈도우 파일 탐색기에서 보이지 않을 때는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큰 문제는 아니니 걱정하지 말고 아래의 내용을 차근차근 따라 하시면 파일 탐색기에 해당 하드디스크가 보이게 될 것입니다.

 



 

키보드에서 윈도우 아이콘 모양의 윈도우 키와 R 키를 누르면 위와 같이 시작 버튼 부근에 실행 창이 뜹니다. 열기에 diskmgmt.msc 를 입력한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디스크 초기화



 

하드디스크 초기화 이전에 파일 탐색기에서 잘 보이던 하드 디스크이면 디스크 관리 창을 띄웠을 때 위와 같은 디스크 초기화 창이 열릴 것입니다. 디스크 관리 창 상단에는 하드 디스크가 보이지 않지만, 하단 디스크 목록에는 ‘알 수 없음’, ‘용량’. ‘초기화 안 됨’으로 된 하드 디스크가 잡혀 있을 것입니다. 만약 자동으로 디스크 초기화 창이 뜨면 디스크를 선택한 후 파티션 형식을 MBR(마스터 부트 레코드)로 선택한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해 줍니다. 디스크 초기화 창이 뜨지 않는다면 상단 메뉴에서 동작(A) > 새로 고침을 클릭하거나 하드디스크가 컴퓨터에 잘 연결되어 있는지 다시 한번 잘 확인합니다.

 

 

여전히 변화가 없다면 왼쪽 디스크 항목의 머리 부분(알 수 없음 표시 부분)을 선택한 상태에서 마우스 우클릭 버튼을 클릭합니다. 메뉴가 열리면 디스크 초기화를 선택합니다. 위와 같이 디스크 초기화 창이 열리면 MBR 파티션 형식 선택 상태로 확인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디스크 초기화를 마치면 위와 같이 ‘알 수 없음’, ‘용량’. ‘초기화 안 됨’으로 표시되던 디스크가  ‘기본’, ‘용량’, ‘온라인’ 상태로 바뀌게 됩니다. 하지만 여전히 하드 디스크는 할당되지 않음으로 표시될 것입니다.

 

볼륨 만들기



 

할당되지 않은 디스크 뒷부분(검은색 부분)을 마우스로 선택한 다음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합니다. 메뉴가 펼쳐지면 새 단순 볼륨을 클릭합니다.

 



 

단순 볼륨 만들기 마법사가 시작되면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또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파티션 크기 지정 단계에서 볼륨 크기를 지정할 수 있는데요. 전체 크기를 입력한 후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전체 크기를 입력하면 1개의 하드디스크를 1개의 파티션으로 사용하게 됩니다. 1개의 하드디스크를 1개의 드라이브로 사용하는 것이지요. 만약 파티션을 나누고 싶다면 ‘파티션 나누기’ 글을 참고하시고 파티션을 분할하면 되겠습니다. 참고로 윈도우10이나 윈도우7이나 하드디스크 파티션 나누는 방법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드라이브 문자 할당



 

드라이브 문자 할당을 선택한 후 비어있는, 그러니까 기존에 사용하던 드라이브의 문자를 선택하거나 선택 가능한 문자를 선택해 준 후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참고로 C 드라이브를 제외한 드라이브에 할당된 문자는 언제든 다른 문자로 변경이 가능합니다. 드라이브 문자를 변경하고 싶다면 ‘드라이브 문자 변경‘ 글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파티션 포맷



 

드라이브 문자 할당 후에는 파티션을 포맷해줘야 합니다. 이 볼륨을 다음 설정으로 포맷 선택하고, 빠른 포맷 실행 체크해 준 후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포맷 설정의 파일 시스템은 NTFS, 할당 단위 크기는 기본값 그대로 두고 포맷을 진행하시면 되고요. 볼륨 레이블은 드라이브 이름을 입력해 주거나 새 볼륨 그대로 두고 다음 버튼 클릭하시면 됩니다. 볼륨 레이블은 드라이브 이름인데요. 드라이브 이름은 나중에 언제든 변경할 수 있습니다.

 



 

단순 볼륨 만들기 마법사 완료 단계에서 마침 버튼을 클릭하면 위에서 설정한 내용으로 볼륨이 생성됩니다.

 



 

디스크 관리 상단에 해당 볼륨이 잡히고, 하단 디스크 영역에 해당 디스크가 정상 파티션으로 표시되고 있다면 파일 탐색기에서 해당 드라이브가 잘 보일 겁니다. 참고로 캡처 이미지는 볼륨 레이블을 Data로 입력한 후 진행하였기에 Data (D:)로 표시되는 것입니다. 기본 값 ‘새 볼륨’으로 진행하였다면 새 볼륨 (문자:)로 표시됩니다. 드라이브 이름은 파일 탐색기에서 마우스 우클릭 후 이름 변경 혹은 이름 바꾸기로 변경하면 되네요. 끝~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