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서치 콘솔 도메인 속성 유형 선택 기능 추가

구글 서치 콘솔에 속성 유형 선택 기능이 추가 되었습니다. 사이트 추가 시 도메인 속성으로 추가할 수 있는 옵션이 생겼습니다. 언제 추가되었는지는 모르겠으나, 최근에 추가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기존의 구글 서치 콘솔에 속성을 집합으로 그룹화할 수 있는 속성 집합 기능이 있었습니다. 이 속성 집합이 생긴지 얼마 안된 기능인데요. 이 속성 집합 기능이 새로운 구글 서치 콘솔에 도메인 속성으로 업그레이드 된 것 같습니다.


새로운 도메인 속성을 사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속성 집합 기능이 멍텅구리가 되어 홧김에 확 지워버렸었는데요. 지운 것을 후회하고 다시 속성을 그룹으로 집합 시키려고 하였더니 집합 기능이 사라지고 없더군요.


새 구글 서치 콘솔로 기능이 옮겨졌나 싶어 가서 뒤져 보았더니 속성 유형 선택 기능이 딱 나옵니다. 냉큼 도메인 속성을 추가하고 소유권 인증이 완료 되니 감사하다는 메시지가 나옵니다. 어후 제가 감사하죠~


구글 서치 콘솔의 새로운 도메인 속성

구글 서치 콘솔 속성 유형 선택의 도메인


구글 서치 콘솔에 사이트 등록 시 속성 유형을 선택하여 등록할 수 있습니다. 도메인과 URL 접두어 중 하나를 선택하여 등록할 수 있습니다. 신규 딱지 붙어 있는 도메인이 새로 추가된 도메인 속성입니다.


구글 서치 콘솔에 등록된 도메인 속성


기존의 구글 서치 콘솔은 사이트를 등록할 때 www. 포함 및 제외 도메인과 도메인 프로토콜별로 각각 등록했어야 했습니다. 이젠 사이트 등록할 때 속성 유형 선택에서 도메인을 선택한 후 프로토콜을 제외한 도메인 주소만 한 번 입력해주면 모든 하위 도메인과 2종의 프로토콜(http와 https) 모두 포함 됩니다. 참고로 위 캡쳐 이미지의 도메인 속성을 제외한 3개의 도메인은 기존에 추가해 놓은 것들입니다.


예시, 속성 추가 시 mongri.net으로 사이트를 추가하면 https://mongri.net, https://www.mongri.net, http://mongri.net, http://www.mongri.net

위와 같은 도메인이 모두 포함됩니다. 추가한 사이트 도메인의 프로토콜, 하위 폴더 뿐만 아니라 서브 도메인도 모두 포함됩니다.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을 사용하는 블로그의 경우는 상관 없지만, 개인도메인을 사용할 경우에는 m.mongri.net 같은 서브 도메인도 포함 됩니다.


도메인 속성 소유권 확인은 DNS TXT 레코드로

DNS 레코드를 통해 도메인 소유권 확인


구글 서치 콘솔에 속성 유형 선택 기능이 추가되어 좋긴 한데요. 누군가에겐 그림의 떡일 수 있습니다. 왜? 속성 유형 선택에서 도메인을 선택하여 사이트를 등록하려면 DNS 설정에 TXT 레코드를 추가해 주어야 하거든요.


DNS 설정에 TXT 레코드를 추가하는 것이 그리 어려운 작업은 아니지만 기존의 방식과는 전혀 다르기에 조금 까다롭게 느낄 사람들이 많을 것 같습니다. 가비아에서 도메인을 관리하신다면 가비아 도메인 DNS 설정에 TXT 레코드 추가하기를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고대디 등의 도메인도 DNS 설정에 TXT 레코드만 추가해 주면 되니 참고하여 스윽 하시면 되겠습니다.


소유권 확인 실패 DNS TXT 레코드를 찾을 수 없습니다


아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DNS 설정에 TXT 레코드를 추가해야 하기에 예전처럼 뚝딱 소유권 확인이 불가능합니다. 운 나쁘면 DNS 변경 내용 적용까지 24시간도 더 걸릴 수 있네요. 그나마 요즘은 시간이 단축되어 예전처럼 2~3일까지 걸리진 않습니다. 하루면 반영될 것이네요. 아마도요.


소유권이 자동으로 확인됨


참고로 몽리넷 블로그의 경우는 TXT 레코드 추가 후 소유권 인증까지 대략 2시간 정도 걸린 것 같습니다.


서브 도메인을 사용하는 경우는 이 도메인 속성을 이용하여 사이트를 추가하면 안될 것 같습니다. 데이터가 하나로 합쳐 보여질 것이니 말입니다. 서브 도메인을 사용하는 경우는 기존 방식대로 그냥 사용해야 할 것 같으네요. 구글 서치 콘솔 사이트 등록은 기존과 같은 방식의 등록도 지원합니다. 기존에 등록해 놓은 사이트는 아무 영향이 없습니다. 예전 그대로 구글 서치 콘솔에서 크롤링 및 색인 관리를 할 수 있네요.


도메인 속성으로 사이트 추가를 하였는데요. 하루도 안되어 합산 통계 제공 여부나 구글 검색 최적화에 미치는 영향 등이 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당연히 통계는 합쳐지겠죠. 크롤링 및 색인 관리도 합쳐질 것이고요. 이에 관리가 편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