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에 정말 어처구니 없는 일을 당했습니다. KT 추가 단말 서비스 안내 납치 페이지에 당한 일인데요. 어이없고 기가차고 황당하더군요. 웹서핑을 하려고 컴퓨터 전원을 켜고 파이어폭스를 실행 시켰습니다. 즐겁게 웹서핑을 하기 위해 우선 미루고 있던 블로그 검색 반영 요청 작업을 하려고 했습니다.
네이버 웹마스터도구에 접속하려 하였는데.. 뭐죠 대체 이것은? 처음 보는 요상한 페이지가 뜨더군요. '추가단말 또는 오피스 IP팩 서비스를 가입하시면 불편 없이 인터넷 사용이 가능합니다'라고 적혀 있기에 왠 광고인가 싶었습니다. 하지만
KT 추가 단말 서비스 안내 해결 방법
자주 방문하는 것은 아니었지만 블로그 발행 글에 문제가 생겼을 때 네이버 웹마스터도구를 이용하여 해결하고 있었기에 파이어폭스는 기억하고 있었습니다. 정확하게 네이버 웹마스터도구의 주소를 입력하였으나 계속해서 추가단말서비스안내 페이지로 접속이 되더군요. 파이어폭스가 바이러스를 주워 먹었나 싶어 크롬으로 접속해 보았더니.. 또 추가 단말 서비스 안내 페이지가 열리더군요.
익스플로러도 비발디도 모든 웹브우저가 추가 단말 서비스 안내 페이지가 열립니다. 컴퓨터 바이러스 감염이 의심되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스마트폰으로 검색을 해보았습니다. 황당하더군요. 저놈의 추가 단말 서비스 안내 페이지는 KT 인터넷의 납치 페이지이었던 겁니다. KT 인터넷은 1회선에 2대의 컴퓨터까지만 사용할 수 있고, 그 이상의 컴퓨터를 사용하려면 추가단말 또는 오피스 IP팩 서비스를 가입해야 한답니다. 랜선 꼽아 사용하는 컴퓨터가 2대 이상일 경우 랜덤으로 걸린다고 합니다. 운이 없게도 제가 당첨 되어버렸습니다.
기업용 인터넷도 아니고 가정용 인터넷에 저런 짓을 하고 있다니 정말 황당합니다. 한 사람이 2대 이상의 컴퓨터를 사용하더라도 운이 나쁘면 저 추가단말 또는 오피스 IP팩 서비스 어쩌고 하는 페이지를 볼 수 있습니다. 저처럼 말입니다. 집에 랜선 꼽아 쓰는 데스크탑PC가 총 3대 있는데요. 하나는 멀티미디어용으로 잠자는 방에 놓고 TV처럼 사용합니다. 하나는 글 쓰기용이고요. 다른 하나는 버리긴 아깝고 사용하기에도 그런 10년전에 맞춘 데스크탑PC가 있습니다. 이 버리기 아까워 랜선 꼽아 놓고 있던 PC를 켜서 사용했었는데 이게 문제가 된 것 같습니다. 아니면 얼마 전에 서랍속에서 잠자고 있던 태블릿PC 때문일 수 있겠고요. 한 두 달 전에 동시에 4대를 켜 놓고 구글의 원격 제어 프로그램을 살펴봤었는데 이게 문제가 되었을 수도 있겠군요. 여튼 랜덤으로 걸리는 것이 어쩜 이리도 정확한지 모르겠네요.
이 KT의 추가 단말 서비스 안내 납치 페이지 문제는 여러가지 방법으로 해결 할 수 있습니다. 익스플로러에서 해결하는 방법도 있고, 파이어폭스나 구글 크롬 확장 프로그램을 이용한 해결 방법도 있는데요. 오늘은 아이피타임 공유기 설정을 이용한 KT 추가 단말 서비스 안내 해결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아이피타임 공유기 설정, 아이피 차단
웹브라우저 주소창에 192.168.0.1을 입력고 엔터를 누르면 아이피타임 공유기의 관리화면이 뜹니다. 참고로 아이피 타임 공유기의 관리자 주소는 192.168.0.1인데, 마지막 숫자가 1~10 사이 이거나 이 보다 더 큰 숫자일 수 있도 있습니다. 보통 10안짝에서 열립니다. 아이피타임 관리하면이 열리면 관리도구를 클릭합니다.
아이피 타임 관리 도구로 진입한 후 고급 설정 > 인터넷/와이파이 사용제한을 찾아 들어 갑니다.
인터넷/와이파이 사용 제한을 위와 같이 설정하여 등록해 주면 됩니다.
첫 번째 줄은 인터넷 사용 제한으로 선택한 후 이름을 입력합니다. 저는 KT-내부-외부로 입력하였네요. 두 번째 줄은 내부 -> 외부를 선택하고 외부 목적지 ALL로 설정합니다. 세 번째 줄의 내부IP 주소에는 내부 아이피 주소를 입력합니다. 192.168.0.1~255로 잡아주면 되고요. 외부 IP 주소는 추가 단말 서비스 안내 페이지의 아이피를 입력해 줍니다. 예시 218.156.157.1~255. 네 번째 줄은 차단으로 놓고 매일 24시간으로 설정해 줍니다. 하루 24시간 일년 내내 해당 아이피를 차단할 수 있도록 말이죠. 우측 상단의 순위는 0순위 혹은 1순위로 설정합니다. 설정을 마쳤으면 적용 버튼을 클릭합니다.
설정한 아이피 차단이 리스트에 등록 됩니다.
다른 설정 내용은 동일하게 하고 두 번째 줄을 내부 <-> 외부로 선택해주면 한 번에 끝나네요.
예전에는 분명히 단방향 밖에 없었는데요. 언제인지 모르겠지만 펌웨어 업데이트로 양방향이 생긴 것 같습니다. 저처럼 무식하게 반방향 2개 등록하시지 마시고, 양방향으로 설정하여 한 방에 끝내주시면 되겠습니다.
아이피 차단 설정을 마쳤으면 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설정한 내용을 저장 시켜 줍니다. 이후부터는 KT 추가 단말 서비스 안내 페이지는 보이지 않게 됩니다. 참고로 hosts 파일 수정하여 인터넷 사이트 차단 하는 방법으로도 KT 추가 단말 서비스 안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