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으로 사업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통신 판매 사업자 경우는 사업자등록 번호, 대표자 이름, 상호 등으로 조회할 수 있습니다. 다단계 판매, 후원 방문 판매 사업자는 회사, 상호, 대표 이름 등으로 정보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사업자등록번호를 알고 있다면 사업자 유형과 계속 사업자인지 폐업, 휴업 상태인지 사업 상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 쇼핑몰이 태동하던 초창기 때와 우후죽순 반값 쇼핑몰이 난립하던 시절에만 그런 줄 알았습니다. 통신판매사업자 정보를 공개하지 않거나, 사업자로 등록한 쇼핑몰인냥 허위 정보를 기재하고 영업하는 사이트들이 아직도 많이 있는 것 같습니다. 인터넷 쇼핑몰 등의 통신 판매 사업자는 공정거래위원회 사이트에서 사업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니 뭐가 의심스러운 느낌이 들었다면 정상적인 쇼핑몰인지 조회해보시고 쇼핑하시기 바랍니다.
목차
통신판매 사업자 조회 방법
공정거래위원회의 정보공개 > 사업자공개 페이지에서 연도별 정보공개 자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통신판매사업자 등록현황 페이지에 방문하면 상호, 이름, 사업자등록번호, 통신판매번호를 이용하여 사업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왼쪽의 메뉴를 이용하면 방문판매 사업자, 전화권유 판매 사업자, 다단계 판매 사업자, 후원 방문 판매 사업자 등의 조회도 가능합니다.
통신판매 사업자의 경우 사업자 등록번호, 통신판매번호, 상호, 대표자 이름으로 조회할 수 있습니다.
쇼핑몰 등의 사이트 하단에 보면 통신판매업 신고 번호, 사업자등록번호, 대표자 이름, 전화번호 등의 정보가 명시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 쇼핑에 명시되어 있는 사업자 등록번호로 조회를 해보았습니다. 네이버에서 운영하는 쇼핑몰이니 당연히 문제없이 잘 등록되어 있습니다. 사업자 번호로 조회를 하면 위와 같이 해당 정보가 검색되는데, 상호나 이름을 클릭하면 해당 사업자의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뭐지 싶으신 분들 있으실 것인데요. 네 맞습니다. 1번의 대표자 김범수는 카카오 창업자와 동일인물입니다. 2000년도 초반에 NHN 대표이사이었습니다.
현재 네이버의 사업자등록 정보는 위와 같습니다.
2016년도에는 통신판매 사업자는 위와 같은 형태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전화권유 판매 사업자 조회 방법
전화 권유 판매 사업자 등록현황에서 사업자등록번호, 상호, 대표자 이름으로 검색하면 해당 사업자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5년 전에도 그랬지만 요즘 걸려오는 전화의 90% 이상이 저들의 전화입니다. 예전에는 지역별로 검색하여 사업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요. 지금은 지역 선택 후 자료를 다운로드하아야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쇼핑몰 등의 사이트는 법으로 통신판매업 번호, 사업자등록 번호, 대표자 정보 등을 사이트에 공개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만약 공개되어 있지 않은 사이트가 있다면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물품 대금만 받고 물건은 보내주지 않고 잠적해버리는 녀석들일 확률이 높으니까. 해당 정보를 공개하지 않는 사이트에선 아예 거래 자체를 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만약 그런 사이트를 알고 있다면 공정거래 위원회 사이트에 신고하시기 바랍니다. 다만 네이버 블로그 등에서 사업자 정보를 공개하지 않고 물품이나 서비스 등을 판매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이는 일정 이상의 매출이 발생되지 않을 경우에는 사업자 정보를 명시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입니다.
사업자등록번호 조회 방법
국세청 홈텍스 사업자등록상태 조회 페이지에서 사업자등록번호를 입력하고 조회하면 사업 상태와 사업자 유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반과세자로 표시되면 계속 사업자로 사업자 유지 상태인 것이고요. 폐업 혹은 휴업한 사업자는 날짜와 함께 폐업/휴업으로 표시됩니다. 존재하지 않는 사업자 번호일 경우에는 등록되지 않은 사업자 등록번호라고 표시됩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