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드센스 수익금 지급 받은 외화 통장 달러 환전 방법

까맣게 잊고 있었습니다. IBK 기업은행으로 애드센스 수익금을 지급받으면 상당히 귀찮아진다는 것을 말입니다. 다른 지점은 모르겠는데요. 제가 외화 통장을 만든 IBK 기업은행 지점의 경우에는 구글로부터 외화 송금이 들어오면 금액과 무관하게 고객에게 전화를 하여 구글이 뭐하는 곳이냐? 무슨 돈이냐? 확인한 후 입금처리해줍니다. 아무 의미도 없는 확인 전화를 왜 자꾸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이젠 멈출 때도 된 것 같은데 말입니다. 일정 금액 이하의 소액 외화송금은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무슨 이유 때문인지 소액 외화송금도 전화로 확인 후 입금해 줍니다.

 



IBK 기업은행 i-ONE bank 달러 환전 시 손해

 

바로 입금처리 부탁한다. 앞으로 전화하지 않아도 된다고 말하면 확인 전화를 하지 않습니다. 짧은 기간 동안만 말입니다. 담당자가 바뀌면 또 전화합니다. 애드센스 수익금 지급 설정에서 외화보통예금 계좌로 설정해 놓으면 다른 은행들은 전화로 확인하는 경우는 없는데 말입니다. 전화 확인을 하더라도 한 번 정도 확인한 후 인터넷 뱅킹이나 어플로 송금 온 외화를 받으라고 알려줍니다. 기업은행은 안내는 커녕 외화송금 규정에 의해 어쩌고 저쩌고 법이 어쩌고 하며 가르치려 듭니다. 얼척없게. 기업은행과 거래 안 하면 손해 보는 것으로 착각하는 것인지. 솔직히 IBK 기업은행은 가장 많은 수수료를 떼어가는 은행 중에 하나입니다. 환전할 때 환율에서도 득이 없기 때문에 오히려 손해만 보게 되죠. 참고로 애드센스 수익금을 계좌로 받을 때 은행에서는 외화 송금 수수료와 중계 수수료를 기본으로 떼어갑니다. 중계 수수료를 할인받을 방법은 없지만 외화 송금 수수료의 경우는 개인도 충분히 할인받을 수 있습니다. 간단합니다. 외화 송금 수수료 할인해 주는 은행으로 지급 받으면 됩니다.

 

 

시작부터 끝까지 비판만 하긴 좀 그렇잖아요. 칭찬도 좀 해서 구색을 맞추도록 하겠습니다. 그래서 IBK 기업은행의 i-ONE bank 앱으로 간편하고 편하게 달러 환전하는 방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i-ONE bank 앱 외화통장 달러 환전 방법



i-ONE bank 실행 후 전체 계좌 조회

 

IBK 기업은행의 i-ONE bank 어플을 실행시킨 후 전체 계좌 조회로 진입합니다. 아래 적어 놓은 경로로 진입하면 됩니다. 첫 화면에 등록해 놓고 사용하면 조금 더 편합니다. 사실 외화 계좌도 하단의 네이버스러운 다이얼에 위치시켰더라면 더 편했을 겁니다.

 

뱅킹 > 조회 > 전체계좌조회

뱅킹 > 외환 > 외화예금조회

 



전체 계좌 목록에서 외화 예금 선택 후 내 계좌 환전이체 선택

 

전체 계좌 조회로 진입하면 위와 같이 전체 계좌 목록이 나옵니다. 아래쪽에 위치한 외화 예금의 펼침 버튼을 누른 후 내 계좌 환전 이체를 누릅니다.

 



환전 금액과 입금 계좌 선택 후 다음 단계

 

내 계좌 환전이체 화면이 열리면 환전할 액수 입력한 후 입금 계좌를 선택합니다. 외화 출금 계좌는 이미 선택하여 진입하였기에 선택하지 않아도 됩니다. 환전 금액과 입금 계좌 선택하였다면 다음 단계로 넘어갑니다. 안내 창이 열리면 빠르게 예를 눌러줍니다.

 



같은 시간 우리은행의 달러 환율

하단에 환전 금액, 이체 금액, 적용 환율 등을 확인한 후 예를 눌러 다음 단계로 넘어갑니다. 달러가 1,200원을 돌파하였기에 몇 달 모아 놓은 소중한 달러를 환전하려 했었습니다. 그런데 적용환율이 너무 적어 보였습니다. 그래서 우리은행 어플을 실행시켜 확인해 보았습니다. 같은 시간 우리은행의 적용 환율과 차이가 있더군요. 그것도 무려 2.5원씩이 나요.

 

 

2.5원 코딱지처럼 적은 돈으로 보일 수 있죠. 하지만 1달러당 2.5원 손해 보는 것이기에 결코 작은 금액이 아닙니다. 우리은행 외화 계좌로 이체한 후 환전할까 잠시 고민하다 귀찮아서 환전했습니다.

 



적용환율 변동으로 931원 증가

 

환전할 때 적용환율은 실시간으로 적용됩니다. 이체할까 고민하는 사이 회차가 바뀌어 처음부터 다시 환전 이체 작업을 하였네요. 1분 남짓한 시간이 지난 사이 환율이 올랐습니다. 환율이 조금 더 올라 931원 이득 보았습니다. 사실 이득이 아니죠. 우리은행으로 이체한 후 환전하였더라면 3,000원가량은 더 받았을 것이니까요.

 



내 계좌 환전 이체 완료

 

기업은행의 외화통장 싹 비웠습니다. 더 이상 쓸 일이 없을 것 같아서요. 설마 또 까맣게 잊고 다시 사용하진 않겠죠. 설마요. 나중에 무슨 일이 생길지 알 수 없어 해지까지는 하지 않았지만 참 그렇네요.

 

 

외화 송금된 것도 수취인이 직접 인터넷 뱅킹이나 어플로 입금처리할 수 있게 만들어 놓으면 되는데요. 도대체 왜 안 하는지 그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구글이 애드센스 수입금을 계좌로 지금 시작한 지 8년이 넘었거든요. 8년 동안 대체 뭘 했는지 모르겠습니다. 돈이 안 되는 것은 아닐 겁니다. 단지 적을 뿐이죠.

 



기업은행 외화 통장 거래 내역

 

외화 통장 거래 내역을 보고 갸우뚱했네요. 내역 조회해보니 첫 거래가 2017년 01월 31일이고 마지막이 19년 04월 24일입니다. 14년도 2월에 만든 통장인데 어플로는 거래 내역이 5년 치가 조회가 안되네요. 여하튼 27개월 외화 송금 수수료(타발송금수수료) 건당 1만 원이니 총 27만 원에 최근 몇 달 수수료 해서 30만 원입니다. 이 돈은 앞으로 다른 곳에서 벌어 충단해야 할 겁니다.

 

애드센스 지급 계좌 기업은행 피해야 하는 이유



국내 은행 외화 송금 수수료

 

위에서 시작한 얘기는 끝내야죠. 대부분의 국내 은행은 외화 송금 수수료(타발송금 수수료)로 건당 1만 원의 수수료를 받습니다. 중계 수수료는 국내 은행으로 송금을 중계해주는 외국 은행이 가져가는 것으로 5달러 떼어 갑니다. 중계 수수료 5달러 먼저 떼이고 그리고 1만원(혹은 1만원 수준의 달러) 수수료 떼이고 입금됩니다. 은행만 잘 선택하여도 건당 수수료에서 5천 원 덜 낼 수 있습니다. 5천원 12개월이면 6만 원이에요. 치킨 3마리 충분히 사 먹을 수 있는 큰돈입니다.

 

 

우리은행의 경우 어플을 이용 직접 외화 송금 온 것을 입금 처리하면 5천 원 할인해줍니다. 신한은행도 해외송금 입금 받기는 수수료 5천 원 할인해줍니다. 신한은행의 경우는 직접 해외 송금받기로 처리하면 환율 50% 우대도 받을 수 있습니다. 정말 중요한 것인데요. 만약 애드센스 수익금이 소액일 경우에는 매달 지급받지 말고 지급 기준액을 설정하여 지급받으시기 바랍니다. 그러면 외화 송금 수수료와 중계 수수료 자체를 안내도 되니까요. 세 달 모아 받으면 수수료만 3만 원가량 절약되는 것이네요. 이때 주의해야 할 것은 1,000달러가 초과되지 않게 받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서 애드센스 지급액을 500 달러 정도로 높여 설정하는 것이 적당하지 싶네요. 결정과 책임은 개인의 몫! 참고로 월 1천 달러 이상 해외에서 외화 송금되는 거래는 데이터화하여 저장되는 것으로 알고 있네요. 추후 국세청에서 과세 자료로 사용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오늘 같은 경우만 하더라도 환율에서 3천 원 정도 수수료에서 5천 원 정도 손해를 본 것입니다. 단지 기업은행으로 송금받고 환전했다는 이유만으로 8천 원 정도 손해 본 것입니다. 1년 12개월 동안 애드센스 수익금을 기업은행 외화 통장으로 입금받았다면 최소 6만 원 손해 보는 겁니다. 플러스 알파로 환율에서 본 손해도 더해져야죠. 이 정도면 충분하지 않나요. 애드센스 수익금 지급 계좌는 IBK 기업은행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럼 끝~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