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에서 팩스 보내기, 모바일 팩스 어플

국민연금은 뭐 좀 처리하려면 직접 방문하거나, 팩스로 서류를 보내라고 합니다. 정말 귀찮습니다. 그나마 국민연금은 어플에 팩스 발신 기능이 있기에 조금 수월합니다. 어플에 팩스 기능을 넣어 놓은 것은 정말 어이가 없지만, 지사에 방문하지 않고 서류를 보낼 수 있습니다. 다른 곳들은 대체할 방법이 없기 대문에 팩스로 서류를 보낼 수 밖에습니다. 가정 내에 팩스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는 거의 없기 때문에 동사무소나 팩스 발신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문구 등을 이용해야 합니다. 정말 귀찮습니다.

 



 

 

모바일 팩스 어플을 이용하면 스마트폰에서 무료로 팩스를 보낼 수 있습니다. 회원 가입 시 선택한 모바일 팩스 번호를 이용하여 팩스를 발신하고, 수신받을 수 있기 때문에 정말 편합니다.

 

 

다만 모바일 팩스 어플은 유료 서비스입니다. 팩스 서비스 이용 시 사용 요금이 발생되는데요. MMS를 이용하여 발신/수신하는데, 이용 중인 요금제에서 우선 차감됩니다. 요즘은 문자 메시지나 MMS를 이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기 때문에 무료라고 볼 수 있습니다.

 

모바일 팩스

아이폰용 모바일 팩스 어플은 SK Telink가,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용 어플은 에스케이브로드밴드에서 제공합니다. 저작권자는 ⓒ SK Broadband입니다.

 

모바일 팩스 어플은 설치 시 스마트폰에서 팩스 발신 및 수신 기능 구현에 필요한 권한들을 요구합니다. 요구하는 필수적 접근권한은 아래와 같습니다.

 

모바일팩스 i 필수적 접근권한

  • 저장공간
  • 연락처(주소록)
  • 카메라

 

모바일팩스 필수적 접근권한

  • 파일 및 미디어
  • 전화
  • 연락처(주소록)
  • 카메라

 

모바일 팩스 어플 설치



 

  • 아이폰은 애플 앱스토어의 ‘모바일팩스 i‘ 페이지에 방문하여 설치할 수 있습니다.
  •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은 구글 플레이 스토어 ‘모바일팩스‘ 페이지에 방문하여 설치할 수 있습니다.

 

 

회원 가입 (접근 권한 허용 및 약관 동의)



 

1. 스마트폰에 모바일 팩스 어플을 설치하면 접근 권한 안내 창이 열립니다.

2. 다시 보지 않기를 눌러줍니다. 접근권한 확인 창이 열리면 확인을 눌러줍니다.

3. 기능 구현에 필요한 권한들이니 모두 확인 눌러줍니다. 알림 허용은 각자 알아서 선택하시고요. 이용 약관 동의한 후 다음을 눌러 넘어갑니다.

 



 

4. 필수 약관만 동의 체크한 후 다음 단계로 넘어갑니다. 현재는 3가지 필수 약관만 동의를 받고 있습니다.

5.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신규 가입을 선택한 후 다음을 누릅니다.

6. 모바일 팩스 어플에서 사용할 나의 팩스번호 선택합니다.

 



 

 

7. 인증번호 요청을 눌러 인증번호를 요청합니다.

8. 문자로 수신된 인증번호를 입력하고 다음 버튼을 누릅니다.

9. 내 팩스번호가 표시되면, 하단의 확인을 눌러 가입을 완료합니다.

 

가입이 완료되면 스마트폰 팩스 어플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에서 팩스를 보낼 수 있습니다.

 

모바일 팩스 보내기

모바일 팩스 어플 하단의 메뉴를 이용하여 팩스를 발송하고, 수신된 팩스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수신된 팩스는 보관함에 저장할 수 있습니다.

 



 

1. 팩스 발송에서 중앙의 사진/문서 첨부를 누릅니다.

2. 팝업 메뉴에서 파일이 저장된 저장소를 선택한 후 파일을 첨부합니다.

3. 팩스 수신 번호를 입력한 후 아래의 파란색 팩스 발송을 누릅니다. 팩스 발송 시에는 와이파이 연결을 해제해야 합니다.

 

수신 및 발신 확인



 

  • 팩스 발송 후에는 발송내역에서 전송 상태(발송 중, 발송완료 등으로 표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팩스가 수신되면 알림이 뜨며, 수신내역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수신된 팩스는 보관을 눌러 보관함에 저장하거나, 공유/인쇄/저장을 이용하여 외부로 공유하거나 출력할 수 있습니다.

 

내 팩스 번호 확인 및 발신 요금



 

  • 내 모바일 팩스 번호는 더 보기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모바일 팩스에 대해 궁금한 것이 있다면 이용안내를 살펴보면 됩니다.
  • 이용안내에서 팩스 요금, 1회 발송 가능한 파일 용량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앞서 말했듯 모바일 팩스 어플은 유료 서비스입니다. 하지만 사용 요금제의 문자를 우선 차감하기 때문에 유료임에도 불구하고 무료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모바일 팩스 요금 (FAX 발송 요금) SK텔링크 모바일 팩스는 MMS를 이용하여 FAX를 전송합니다. 이용자의 이동통신사 가입요금제에 따라 MMS 발송 요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최적화된 FAX 서비스를 위해 1장 발송 시 1건의 MMS를 발송합니다)
  • 1회 발송 가능한 이미지 용량 파일 사이즈가 8MB 이상되는 파일은 팩스 전송에 제한될 수 있습니다.

 

모바일 팩스 어플 전송 잘됩니다. 본인이 사용하는 스마트폰 요금제의 MMS 제공량 한도 내에서만 사용한다면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MMS 제공량과 차감 정책 등은 이통사와 요금제에 따라 다를 것인데요. SKT의 경우는 MMS 1건당 5건의 문자 메시지가 차감됩니다. 예를 들어 요금제에서 문자 100건이 제공된다면 모바일 팩스 어플로 20건의 팩스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만약 팩스 22개를 보냈다면 초과된 2건 팩스 사용에 대한 요금으로 220원이 청구됩니다. 제가 이해한 바로는 그렇습니다.

 

– 기본 제공 문자를 다 쓴 뒤에는 SMS 1건당 22원, 텍스트형 MMS 1건당 33원, 멀티미디어형 MMS 1건당 110원이 청구됩니다.
– 남은 기본 제공 문자를 조회할 때는 금액이 아닌 건수로 표시됩니다.(SMS 1건당 1건 차감, 텍스트형 MMS 1건당 1.5건 차감, 멀티미디어형 MMS 1건당 5건 차감)
출처 : http://www.tworld.co.kr/

 

저는 팩스 자체가 사라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일본식 문화의 잔재 문제인지 아니면 다른 연유가 있는 것인지 팩스로 서류를 요청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제 생각에는 조금이라도 귀찮게 만들어 해지 등을 못하게 방어하기 위함이거나, 출력하기 귀찮으니 팩스로 보내라고 하는 것 같습니다. 끝~

 

관련 게시물

사진으로 꽃이름 찾기 어플 다음 꽃검색

갤럭시 카메라 소리 끄기 무음 카메라로 어플

음성 텍스트 변환 어플 실시간 자막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