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폴더 공유 설정하고 스마트폰 컴퓨터 연결 설정 하기

윈도우에서 네트워크 폴더 공유 설정을 해주고 어플로 스마트폰과 컴퓨터 연결 설정을 해주면 몸과 마음이 편해질 수 있습니다. 간단히 몇 가지 설정만 해주면 스마트폰으로 PC 컴퓨터에 저장된 사진과 동영상을 볼 수 있습니다. 원한다면 엑셀 등의 문서 파일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폴더 공유

다만 한 가지 제약 사항이 있습니다. 윈도우 컴퓨터가 켜져 있어야만 네트워크 폴더 기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이 제약 사항도 손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아시는 분들은 아실 것인데요. 윈도우는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자동 부팅 되게 하고, 자동 종료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고급진 표현으로 WOL (Wake On Lan) 이라고 하는 기능을 이용하면 PC 컴퓨터를 원격으로 부팅 시킬 수 있습니다.

 

기본 네트워크 폴더 공유 설정

윈도우의 네트워크 폴더 공유 기능을 이용하려면 기본적으로 네트워크 검색 기능을 활성 시켜야 합니다.

네트워크 검색 켜기와 파일 및 프린터 공유 켜기

  1. 제어판을 실행 시킵니다.
  2. 작업 표시줄 검색 창에 제어판을 입력하고 검색된 ‘제어판’ 또는 ‘Control Panel 앱’을 누릅니다.
  3. 제어판이 실행되면 상단 우측 검색에 ‘네트워크’를 입력합니다.
  4. 검색 결과에서 ‘고급 공유 설정 관리’ 항목을 찾아 누릅니다.
  5. 개인 네트워크 검색 항목을 확인합니다.
    • 네트워크 검색 켜기로 선택되어 있어야 합니다.
      • 네트워크 연결 장치의 자동으로 설정을 켭니다가 체크 되어 있어야 합니다.
  6. 파일 및 프린터 공유 항목을 확인합니다.
    • 파일 및 프린터 공유 켜기로 선택되어 있어야 합니다.

개인 네트워크 검색과 파일 및 프린터 공유를 모두 켜기로 선택하였다면 이어서 설정을 해주면 됩니다.

 

윈도우 네트워크 폴더 공유 설정

네트워크 폴더 공유 기능을 이용하면 특정 폴더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 폴더 공유 시 사용자나 그룹을 지정할 수 있기 때문에 안심하고 파일 및 폴더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

폴더의 속성에서 공유 선택

  1. 파일 탐색기를 실행 시킵니다.
  2. 공유할 폴더를 선택한 상태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합니다.
  3. 컨텍스트 메뉴가 열리면 속성을 클릭합니다.
  4. 폴더 속성 창이 열리면 공유 탭으로 진입하여 네트워크 파일 및 폴더 공유 항목의 ‘공유’ 버튼을 클릭합니다.
    • 네트워크 경로 아래를 확인하면 공유 안 함으로 표시될 것입니다.
    • 고급 공유 항목의 ‘고급 공유’를 이용하면 동시 접속자 수, 공유 폴더 사용 권한, 캐싱 등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폴더 공유 사용자 및 권한 설정

  1. 네트워크 액세스 창이 열리면 선택 기능을 이용 고유할 사용자를 선택한 후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2. 목록에 추가된 공유 사용자 우측의 선택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 권한을 설정합니다.
    • 최고 사용 권한을 갖고 있는 소유자는 모든 공유 폴더에 기본으로 추가됩니다.
    • 읽기 : 폴더 및 파일에 대한 읽기 권한만 부여 됩니다.
      • 폴더 내의 파일들을 보는 것만 가능합니다.
    • 읽기/쓰기 : 폴더 및 파일에 대한 읽기와 쓰기 권한이 부여 됩니다.
      • 폴더 내의 모든 파일을 볼 수 있고 편집도 가능합니다.
  3. 공유 폴더 사용자 및 권한 설정을 마쳤으면 하단 우측의 공유(H) 버튼을 클릭합니다.

네트워크 공유 폴더 설정 완료

  1. 폴더가 공유 설정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해당 폴더가 목록에 추가됩니다.
  2. 완료 버튼을 클릭하여 공유 폴더 설정을 마무리합니다.

여기까지 설정했다면 이제 해당 사용자들은 공유 폴더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 안드로이드 iOS 등의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기기에서 익숙한 방법이나, 사용하는 프로그램으로 접속 하면 됩니다. 해당 사용자 계정 아이디와 비밀번호로 로그인하면 됩니다.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의 경우는 네트워크 기능을 제공하는 nPlayer, X-plore File Manager 등의 앱을 이용하여 윈도우 네트워크 공유 폴더에 접속하면 됩니다.

 

스마트폰 컴퓨터 연결 설정 하기

어플 종류에 따라 설정 방법은 다르지만 기본적인 로그인 방식은 같습니다. 아이디 입력하고 비밀 번호 입력하면 됩니다.

다만 네트워크 종류가 문제인데요. SMB SMB2, LAN, Wi-Fi 등 눈에 익숙한 종류의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로그인 설정을 해주면 됩니다.

네트워크 폴더 공유 설정하고 스마트폰 컴퓨터 연결 설정 하는 이유는 대부분 동영상 때문일 것입니다. 식탁에서도 화장실에서도 보려고 말입니다.

nPlayer 어플에서 네트워크 검색

  1. nPlayer 어플을 실행 시켜 하단 네트워크 탭으로 진입한 후 상단 우측의 + 아이콘을 누릅니다.
    • 버전에 따라 모양이 조금 다를 수 있습니다.
  2. 새 서버 목록이 펼쳐지면 네트워크 검색 항목을 누릅니다.
    • SMB/CIFS 등을 선택하고 진행하여도 됩니다.

검색된 네트워크 공유 폴더 선택한 후 아이디 및 비밀번호 설정

  1. 네트워크 검색이 진행되고 잠시 기다리면 윈도우 공유 폴더가 표시될 것입니다. 검색된 네트워크 공유 폴더를 선택합니다.
  2. 네트워크 설정 창이 열리면 호스트, 사용자, 암호를 입력한 후 저장을 누릅니다.
    • 호스트에는 본인의 내부 아이피 192.168.0.xx 주소를 입력합니다.
    • 사용자에는 윈도우 사용자 계정 아이디를 입력합니다.
    • 암호에는 윈도우 사용자 계정 암호를 입력합니다.

폴더 내의 파일 선택하여 실행

  1. 정상적으로 연결되면 윈도우에서 설정한 네트워크 공유 폴더가 표시될 것입니다.
  2. 폴더로 진입하여 보고 싶은 동영상 파일을 실행 시킵니다.

에스파 윈터 공연 영상 캡처 이미지

사용자 환경에 따라 각기 설정되어 있는 동영상 플레이어 앱으로 영상이 재생될 것입니다.

굳이 문서 파일을 봐야 한다면

스마트폰에서 굳이 문서 파일을 열어 보고 싶다면 파일 관리 어플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컴퓨터 연결 설정을 해주면 됩니다.

사실 동영상 플레이 어플 보다는 파일 관리 어플의 네트워크 기능이 더 좋습니다. 파일 관리하라고 만든 어플이니 당연히 기능이 더 좋습니다.

X-plore File Manager 어플에서 LAN 항목의 서버 추가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공유 폴더 설정

  1. X-plore File Manager 어플을 실행 시킵니다.
  2. 우측의 네크워트에서 LAN 항목을 누릅니다.
  3. LAN 항목이 펼쳐지면 하단의 서버 추가를 누른 후 스캔을 선택합니다.
    • 스캔을 누르면 자동으로 검색합니다.
  4. 검색된 네트워크 공유 폴더를 선택합니다.
  5. 서버 추가 창이 열리면 서버 정보를 입력하고 저장을 누릅니다.
    • 사용자 이름에 윈도우 사용자 계정 아이디를 입력합니다.
    • 비밀번호에 윈도우 사용자 계정 암호를 입력합니다.
  6. 윈도우의 네트워크 공유 폴더 이름 부분을 터치하고 진입합니다.
  7. 굳이 열어 보고 싶은 문서 파일을 선택하여 누릅니다.
  8. 설정되어 있는 연결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열어 보면 될 것입니다.

여기까지 진행하였다면 동일 네트워크 상의 스마트폰 컴퓨터 연결 설정이 정말 쉽다는 것을 알게 되었을 것입니다. 정말 쉽죠.

약간 복잡하긴 하지만 조금만 더 노력하면 외부에서도 내 방에 있는 PC 컴퓨터에 저장된 사진 동영상 등을 볼 수 있습니다.

외부에서 파일을 확인할 일이 많다면 나스를 구입하는 편이 좋을 것입니다. 시놀로지 나스 가격이 부담스럽다면 해놀로지 나스를 들여 놓는 방법도 있습니다. 끝~

관련 게시물

스티커 메모 다운로드 설치하고 스마트폰 원노트와 동기화 설정하기

로컬 및 네트워크 폴더 동기화 프로그램 싱크 토이(SyncToy)

구글 드라이브 컴퓨터 동기화, 특정 폴더만 동기화하기

FolderSync 어플을 이용한 스마트폰 사진 synology 나스 동기화 방법

Leave a Comment